살고 싶은 섬, 물메기 섬 통영 ‘추도’와 갯장어 섬 고성 ‘와도’ 선정

  • 등록 2021.06.16 00:07:39
크게보기

- 2022년 ‘살고 싶은 섬’ 가꾸기 공모사업 대상지로 ‘추도’, ‘와도’ 선정,
- 3년간 30억 원 투입, 고유자원을 활용한 섬 재생사업, - 하반기부터 전문가 투입, 섬 자원도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박차

[경남/김영곤기자] 경상남도(도지사 김경수)는 2022년 살고 싶은 섬’ 가꾸기 공모사업 대상지로 통영 추도와 고성 와도가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추도는 2개 마을에 140여명의 주민이 산다통영시 산양읍에 속한 섬으로 물메기 주산지로 알려진 섬광역상수도와 전기가 들어가지 않아 간이상수도와 자가 발전소를 운용하고 있지만최근에는 섬으로 이주한 귀도인이 늘어나 폐촌이 부활했다.

 

특히 주민들의 마을청소특용작물 시범재배 도전 등 마을 공동체 활동이 활발하다.

 

누운 섬고성 와도는 호수같이 맑은 자란만에 위치한갯장어가 많이 잡히는 작은 섬이다.

 

오가는 정기 도선도 없는 열악한 상황에서 주민들은 섬의 곳곳을 청소하고마을 곳곳에 꽃을 심고편백나무 숲을 조성하며 마을을 가꾸었다.

 

이번 공모사업에는 도내 4개 시·군 12개 섬이 신청해통영시 추도연화도용호도한산도거제시 지심도고성군 와도 등 6개 섬이 경상남도 섬발전자문위원회의 1차 서면평가를 통과했으며, 6월 2~3일 양일간 현장평가를 거쳐 통영 추도와 고성 와도가 최종 선정되었다.

 

경남도의 살고 싶은 섬’ 가꾸기 사업은 지난해부터 시작한 주민주도의 섬 재생사업이다.

 

매년 2개 섬을 선정하여 3년간 각 30억 원(도비 15·군비 15)을 투입해 마을공동체 활성화주민 소득 증대 및 생태 여행지 조성 등을 통해 주민들과 방문객들이 살고 싶고 머물고 싶은 섬으로 조성한다.

 

도는 이번에 선정된 추도와 와도에 대한 사업 기본계획 수립을 위해 하반기부터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를 투입하여섬 고유의 자원 조사는 물론 섬 주민들과 지속적인 논의를 통해 주민 주도형 섬 발전 기본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한편경남도는 지난해 2021년 살고 싶은 섬’ 가꾸기 사업 대상지로 선정된 통영 두미도와 남해 조호도에 대한 기본계획 수립을 완료하고 세부사업을 본격 추진 중이다.

 

특히통영 두미도에는 유휴건물을 새단장(리모델링)해 섬택근무(스마트워크센터사무실을 개소하고 전국 최초로 공공기관인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직원들이 섬에서의 근무를 시작했다.

 

김춘근 경남도 해양수산국장은 살고 싶은 섬 가꾸기 사업은 그동안 소외당하고 많은 불편을 견뎌 온 섬 주민들의 희망을 담은 사업이라며, “관심과 기대에 부응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주민들과의 소통철저한 준비와 행정 지원으로 주민들이 살고 싶고방문객이 머물고 싶은 아름다운 공간으로 가꾸어 나가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영곤 기자 young336933@naver.com
Copyright @2009 한국방송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등록번호 서울 아 02188, 등록일 2009-07-17, 발행인:이헌양. 대 표:김명성 서울특별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18길, Tel 02-420-3651
한국방송뉴스(주) © ikbn.news All rights reserved.
한국방송뉴스(주)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