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수 지사, ‘부울경메가시티’ 주제로 도민과 적극 소통

  • 등록 2021.05.28 13:54:10
크게보기

- 27일 ‘부울경메가시티’ 도민과의 대화 온라인 방식으로 개최,
- 도민과 직접 소통하며 부울경 메가시티 공감대 확산에 나서,
- 김경수 지사 “부울경 메가시티에 대한 도민의 공감대와 동의를 구하기 위해 노력하겠다”

[경남/김영곤기자]김경수 도지사가 부울경 메가시티에 대한 공감대 확산을 위해 도민과 직접 소통에 나섰다.

 

경남도가 27일 창원시 의창구 대원동에 위치한 경남콘텐츠코리아랩(옛 한국산업단지공단 동남종합전시장 내)에서 <도민과의 대화 함께 만드는 더 큰 미래부울경 메가시티’>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온라인 60현장 참여 20명 등 총 80여 명의 도민들이 참여했다부울경메가시티를 주제로 도민이 묻고 김 지사가 답하는 방식으로 이뤄졌으며경남도 공식 유튜브 채널 갱남피셜을 통해 실시간으로 방송됐다아울러 토크 진행은 도의회 김지수 의원이 맡았다.

 

행사는 부울경 메가시티란청년이 살고 싶은 부울경 메가시티 지역균형발전 등 3개 세부 주제별로 진행됐다이들 주제는 지난 5월 초 접수된 부울경 메가시티 도민 질문을 바탕으로 선정됐다.

 

첫 번째 순서인 부울경 메가시티란?’에서는 부울경 메가시티의 개념과 필요성행정조직의 구상 등 부울경 메가시티에 대한 전반적인 질문과 답변이 오갔다.

 

김 지사는 첫머리에서 부울경 메가시티에 대해 이제는 수도권에 인구 50%가 몰렸으면 할 만큼 한 것이라며, “이제는 비수도권 지역이 수도권처럼 권역별로 대중교통부터 일자리경제문화 하나하나 풀어갈 수 있는 발전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두 번째로 청년이 살고 싶은 부울경 메가시티에서는 청년 유출 방지 대책이 핵심 내용으로 다뤄졌으며대중교통망 확충과 이에 대한 재원 마련 방안 등의 내용이 언급됐다.

 

여기서 김 지사는 수도권 창업투자회사 관계자와의 대화를 소개하며 투자설명회만 하더라도 부산과 경남을 따로 하면 오려고 하지 않지만 부울경이 공동으로 개최하면 긍정적으로 반응하더라고 전하고, “부울경 메가시티를 구축해나가야 청년들이 지역을 떠나지 않고도 미래의 희망을 찾을 수 있다고 말했다.

 

세 번째 주제인 지역균형발전과 관련해서는 부울경 메가시티의 부산 블랙홀’ 우려와 함께 특히 경남 서부권 소외 문제가 핵심적으로 다뤄졌다.

 

경남 서부권 소외 우려와 관련해 김 지사는 부울경 메가시티는 부산울산창원진주 4개의 거점도시를 연결하는 전략이라며 이중에 어느 하나가 빠져도 성공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번 행사는 도민의 눈높이에서 바라보고 있는 부울경 메가시티에 대한 궁금증우려희망 등을 파악해 이를 도민들과의 직접 소통을 통해 풀어나가는 방식으로 기획됐다.

 

김 지사 역시 행사에 앞선 인사말에서 부울경 메가시티를 그동안 실무적으로 차근차근 준비해왔고도민들과 함께 부울경 메가시티에 대해서 공감대나 동의를 구하는 과정이라면서 앞으로 분야별로 지역별로 다양하게 도민 여러분들 찾아뵙겠다고 말했다.

 

한편 경남도는 부울경 메가시티를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사회적 협동조합부울경 경제일자리 활성화 협의회경남청년정책네트워크 등 다양한 분야의 도민들 대상으로 적극적인 현장 소통에 나서고 있다.

 

이날 행사도 부울경 메가시티 추진배경과 필요성을 설명하고 현장의 다양한 의견들을 수렴하기 위해 노력의 일환이다.

 

경남도 관계자는 이번 행사도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도민의 눈높이에서 바라보고 있는 부울경 메가시티에 대한 궁금증우려희망 등을 파악해 이를 도민들과의 직접 소통을 통해 풀어나가는 방식으로 기획된 것이라고 설명하고, “도민들의 목소리에 좀 더 귀 기울이고도민들과 공감하고함께 만들어가는 성공적인 부울경 메가시티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영곤 기자 young336933@naver.com
Copyright @2009 한국방송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등록번호 서울 아 02188, 등록일 2009-07-17, 발행인:이헌양. 대 표:김명성 서울특별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18길, Tel 02-420-3651
한국방송뉴스(주) © ikbn.news All rights reserved.
한국방송뉴스(주)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