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청년 면접지원 서비스 추진

  • 등록 2018.02.23 01:27:21
크게보기

면접용 정장 대여비 지원을 통한 청년취업의 최종 관문 통과 적극 지원

[인천/이광일기자] 인천광역시와 인천경제산업정보테크노파크(원장 박윤배)청년 취업의 최종관문 통과

지원을 위한 면접용 정장 대여비 지원 사업인 인천 청년 면접지원 서비스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인천 청년 면접지원 서비스 사업은 최근 청년 실업률 증가와 취업 준비기간 장기화에 따른 청년 면접비용 부담 증가에 따른 해소책 및 청년취업의 최종 관문 통과를 위한 청년 면접비용 지원을 통해 청년 취업지원 강화의 필요성에 의해 추진하게 되었다.

 

청년실업률은 저성장 경제의 지속에 따라 높은 수준에서 지속되고 있고 구직활동이 장기화 되면서 청년 구직자의 경제적 부담이 상승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2015사람인조사를 보면 구직자의 69%가 면접비용에 대해 부담을 끼며, 이들 중 29.9%가 비용부담으로 면접을 포기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또한 2016인크루트에 의하면 면접의상 구입비용에 37.3%가 부 담을 느끼며, 면접비용 평균 227천원 중 면접의상 구입비가 전체 21%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인천 청년 면접지원 서비스는 신청일 현재 인천시에 주민등록상 주소를 두고 있는 1834세 이하(1985.1.1.2001.12.31. 출생자) 청년구직 자로 1인당 연 3회까지 이용가능 하다.

 

면접지원 서비스 이용 방법은 인천시와 협약을 맺고 있는 대여점을 방 문하여 지원 대상 및 인천시 거주자임을 확인(주민등록 등.초본. 주소가 게재된 주민등록증)할 수 있는 증빙 서류를 지참하여 대여점에 비치된 대여 신청서 및 대여확인서를 작성 후 면접에 필요한 정장을 대여하면 된다.

 

인천시는 2월 현재 인천소재 2, 서울소재 3곳과 대여점 협약을 체결 하여 운영 중이며 청년구직자의 편의를 위하여 대여점 협약을 점차 확 대해 나갈 계획이다.

 

인천시는 청년 면접지원 서비스를 통해 청년실업률 증가와 취업준비 장기화에 따른 청년면접비용 부담해소를 통한 청년들의 적극적인 취업 지원을 강화하고, 청년 취업 디딤돌 및 청년이 필요로 하는 부분 맞춤형 지원을 통해 청년취업의 내실화를 도모한다는 입장이다.

 

인천시는 2018년도에도 현장에서 답을 찾고, 적극적이고 신속한 업무 추진을 통하여 청년일자리와 창업 지

원정책 추진이 시민이 만족하고 행복할 수 있고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이 되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15) 인천청년사랑 프로젝트, 인천창업허브 조성 등 주요 20개 사업을 신속히 추진하여 2

모든 세부계획 수립을 완료하고 3부터는 모든 정책들이 현장에서 실현되고 운영될 수 있도록 한다는 방

침이다.

 

참고 1

             인천시와 협약 체결한 정장 대여점 현황(2018.2월 현재)

연번

업 체 명

주 소

연락처

1

클래시테일러샵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대로102 대우마이빌1층 클래시

032-361-2588

2

             스마일시스템  

           인천광역시 남구 경인로 229, 121212호 세이너스타

              070-8672-5435

   3     

              체인지레이디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로 24나길20 창성빌딩4

              02-6204-1517

4

            마이스윗인터뷰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로87-8 다니엘빌딩3

             070-8160-3010

5

              열린옷장

               서울 광진구 아차산로 213

             02-6929-1020

참고 2

청년 취업준비자 실태(면접비 및 취업준비 기간 등)

 

 

저성장경제의 지속에 따른 청년실업률 증가

- ‘16년 청년실업률 9.8%로 사상 최고치 경신(3년 연속 9%)

- 아르바이트 노동자 등 숨은 실업자 감안하면 청년층 체감실업률은 20% 이상 청년들이 구직 과정에서 겪는

경제적 부담 상승

- 구직자 69%가 면접비용에 대해 부담을 느끼며, 이들 중 29.9%가 비용부담으로 면접 포기(사람인, 2015)

- 접의상 구입 비용에 37.3%가 부담을 느끼며, 이 중 새로 구입하는 사람이 84.4%(인쿠르트, 2015)

- 면접비용 평균 227천원, 면접의상 구입비가 전체 21% 차지(인쿠르트, 2016)

 

취업준비자 평균생활비 월 49.8만원, 67.6% 생활비 조달 부담,

취업 준비 기간 평균 15.7개월 

- 취업준비 관련비용(학원수강비+취업자료구입비+시험응시료)은 월 34.2만원

- 취업준비자의 생활비는 평균 월 49.8만원, 취업준비자 중 8.6%는 생활비 조달을 위해 금융기관에서

대출

- 입사지원서는 평균 17.3회 제출하며 그 중 면접은 평균 6번 응시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은 2017.3.224.5일까지 온라인 조사<청년취업준비실태조사> (전국 만 1934취업

준비자* 500)

이광일 기자 kwangil54@naver.com
Copyright @2009 한국방송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등록번호 서울 아 02188, 등록일 2009-07-17, 발행인:이헌양. 대 표:김명성 서울특별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18길, Tel 02-420-3651
한국방송뉴스(주) © ikbn.news All rights reserved.
한국방송뉴스(주)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